본문 바로가기

JAVA5

연산자 우선순위 최우선 연산자 [ ], ( ) 단항 연산자 ++, --, !, ~, +/- : 부정, bit변황 > 부호 > 증감 전위.후위 연산자 (a++, ++a) 산술 연산자 *, /, % > +, - > shift (시프트) 연산자 >>, > 비교 연산자 >, =, ||, ! 삼항 연산자 대입 연산자 =, *=, /=, %=, +=, -= 예시 [a=5, b=10, c=15] a-b*c = a-(10*15)=-145 (1-b)*c = (-5)*15 =-75 a>5 && b>5 = false a>5 || b>5 = true (++a) -5 = 6-5 = 1 -> 그 다음 a의 값은 6 [전위] (a++)-5 = 5-5 =0 -> 그 다음 a의 값은 6 [후위] 2022. 7. 31.
연산자와 연산식과 비교 연산자 연산 데이터를 처리하여 결과를 산출하는 것을 말한다. X=Y+Z; 연산자 (+, -, *, /, %, =, ...) 연산에 사용되는 표시나 기호를 말한다. 부호 연산자 (+, -) 산술 연산자 (+, -, *, /(나누기), %(나머지)) 증감 연산자 (++, --) ex) int i1 = -5, i2 = +i1 =-5, i3=-i1 =5 int i4 = ++i3 -> i3 = i3+1 =6 (1더하고 i3 더하기) int i5 = i3++ -> i3 = 1 +3 =7 (i3을 출력 후 재출력 시 그때 1을 더해서 출력) ex) int i = 5; J = 2; System.out.println(i+J) => 7 (i-J) => 3 (i*J) => 10 (i/(double))i => 2.5 (출력이 소수로.. 2022. 7. 26.
기본형 데이터 타입과 타입 변환 종류 정수형, 실수형, 문자형, 논리형이 있습니다. 기본형 타입 논리형(boolean) : true 또는 false (0,1이 아님) (1byte) ex) boolean isFun = true; 문자형(char) : 0 ~ 65, 535 (2byte) ex) char c = 'f'; 정수형(byte) : -128 ~ 127 (1byte) ex) byte b = 89; (short) : -32.768 ~ 32.767 (2byte) ex) short s = 32760; (char) : 0 ~ 65.535 (2byte) ex) char c = 64; (int) : -128 ~ 127 (4byte) ex) int x = 59; int z = x; (long) : ... (8byte) ex) long big = .. 2022. 7. 26.
변수와 상수 변수란 값(데이터)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공간을 말한다, 값(데이터)이 변할 수 있는 수이다. (프로그램이 동작하면서 값이 수시로 바뀔수도 있기 때문이다.) 주의사항 1. 변수에 어떤 데이터를 담을 것인지 생각하고 데이터 타입을 선택해야한다. 2. 변수에는 "1개"의 데이터만 담을 수 있다. 3. 변수의 첫 글자는 소문자로 사용이 된다. 4. 두 단어 이상의 변수 이름은 두번째 단어 첫 글자 대문자를 사용한다. ex) int onetwo (X) int oneTwo(O) 5. 띄어쓰기가 필요한 변수는 띄어쓰는 부분에 "_"를 사용한다. ex) int A B (X) int A_B(O) 변수 선언 데이터 타입 변수이름 ; 상수란 값(데이터)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공간을 말한다. 한번 저장한 데이터값을 변경할 .. 2022. 7. 17.